• 2022. 5. 18.

    by. 굿코치

    반응형

    이기는 삶, 성공하는 사람들의 열네 번째 습관은 10퍼센트를 더하는 것입니다.
    무언가를 이루려고 하는 목표를 세우고 100% 달성하겠다고 다짐합니다. 물론 100% 달성하는 것도 훌륭한 action입니다. 하지만 성공을 위한 최선은 100% 이상의 무엇입니다. 바로 100+10%의 최선이 필요한 것이지요.
    최선은 고정된 수치가 아닙니다. 오늘 10개의 팔 굽혀 펴기가 3개월 뒤에는 100개가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최선의 기대치는 분명 달라져 있기 때문입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말합니다.

    "때때로 무언가를 변명하려 할 때, 최선을 다했다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를 마주하면서도 최선을 말하며 자신과 타인을 위로하려는 모습이 있다. 하지만 최선에 대한 리액션은 축하이지 위로가 아니다. 현재가 말하는 최선에 만족해선 안 된다. 늘 오늘보다 더 나은, 높은 수준의 최선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나를 위로하려는 말의 최선이 아닌 더 나은 역량을 발휘하는 최선으로 생각과 행동을 세팅해봅시다.

    1. 10% magic 10퍼센트의 마법
    성공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면서 10%를 더하라고 말합니다. 운동, 독서, 일, 공부 등의 영역에서 완성을 이뤄가기까지 생각한 것보다 10%를 더하면 빠르게 성공의 근육이 강화됩니다. 110%의 실행력은 그가 속한 집단 중에서도 최상위 집단에서 그 역량이 드러납니다. 10% 더했으나 그 이상의 보상을 받게 됩니다. 이는 수치로 10%의 차이가 아닌 그 이상의 차이이지요. 마치 복리 이자처럼 말입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110%로 일하는 자신과 타인의 열정을 금방 알아봅니다. 서로서로 존중하며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내곤 합니다.
    여러분은 평소 100%를 기준으로 얼마나 역량을 발휘하고 있나요?
    무언가를 적당히 하는 것의 미덕이 만연해 있지는 않나요?
    오늘부터 110%로 다시 세팅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2. love the pain 고통을 사랑하세요
    성공하는 사람들은 10% 노력이 여러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스스로에 대한 존경심을 갖게 되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내가 나를 존중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큰 보상은 없다고 합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내가 아니면 누구도 할 수 없다는 책임감과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무장합니다. 이런 태도는 진행되는 동안의 어려움,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는 준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미리 준비하고 있는 것!
    "일에 있어서 대부분의 고통은 사랑할 만한 것이며 즐길만한 것이다. 그러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의 고통은 진정 괴롭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고통을 피하려 하고 두려워합니다. 나를 괴롭게 하는 그 순간, 시간을 견디는 것이 싫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고통의 또 다른 의미를 알게 되면 더욱 기대합니다. 고통이 지나간 후, 어떤 변화가 있을지 믿기 때문입니다.

    3. Set audacious goals 과감하게 목표를 설정하세요
    인간이 지닌 잠재력은 상상 그 이상이라고 심리학자들은 말합니다. 100%가 최선의 결과라고 생각하지만 70%만 발휘한 것이 됩니다. 앞서 말했든 최선을 다했다는 자기 위로가 아닌 10% 더해야겠다는 다짐으로 태도를 바꾸세요.

    성공하는 사람들은 성공의 여러 비결 중 하나로 목표를 크게 잡았다는 것입니다.
    만약 월 1천만 원을 벌겠다는 사람과 5백만 원을 벌겠다는 사람 중 누가 더 목표를 빠르게 성취할까요? 목표를 크게 세우고 그에 맞은 110%의 실행이 따라간다면 5백만 원은 1천만 원의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이미 성취하고 지나가는 단계가 될 것입니다.
    목표는 과감하고 담대하게 설정하세요. 110% + 추진력과 속도가 함께 따라가며 디테일도 강해집니다.
    가장 자주 쉽게 하는 표현 중에 "마음만 먹으면 뭐든 할 수 있다."
    굿코치도 어린 시절부터 이 마음먹기는 여러 번 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늘 하루가 지나면 혹은 3일이 지나면 사라지는 마음먹기였지요. 성인이 되어 말의 책임을 중요하게 여긴 뒤로 3개월의 습관으로 만들지 않는다면 입 밖에 내지도 말자는 결심과 함께 이뤄온 것들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그렇게 이룬 것이 꾸준한 운동과 책 읽기, 그리고 글쓰기입니다.
    마음을 결심하고 실행으로 연결하면서 일어나는 고통을 기꺼이 즐기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다면 머지않아 성공의 결과는 나의 것이 되어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마음먹기에 머물러 있었다면 그땐 상상 이상의 원치 않는 고통이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왜 10%만 더해야 하는 걸까? 20%, 30% 더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럼 더 큰 성공의 길을 가지 않을까? 정말 성공의 방법이라는 믿음 앞에 이런 질문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100%를 겨우 혹은 가끔 이뤄내는 것에 만족하는 사람이라면 이 10%를 더하는 것을 체화하기까지도 시행착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성공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땐 얼마를 더하든 그 또한 잠재력을 더욱 깨우는 시도가 될 것입니다.

    - 만약 운동의 필요성을 느낀다면 시작하세요.
    - 오늘의 한계치가 10개라면 1개를 더해 보세요.
    - 매일의 기록을 가시화하여 처음과 달라진 현재를 통해 동기 부여하세요.
    - 말의 습관에서 '최선을 다했다'는 말은 쓰지 않기로 해보세요.
    - 타인보다 10% 더하겠다는 생각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세요.
    - 목표를 이뤘을 때의 모습을 때마다 상기하며 현재의 고통을 이겨내세요.
    - 고통은 성공의 과정 중 일부라는 것을 미리 인식하고 받아들이세요.
    - 매번 달려가기만 하면 쉽게 지칩니다. 적절한 휴식과 병행하며 집중력을 높여주세요.
    - 가장 중요한 포인트! 10% 더하는 데 필요한 것은 '집중력.





    반응형